목록전체 글 (59)
생각정리
MBTI는 과학이다-라는 말을 굉장히 많이 듣고 있는 현 시대, ENTJ인 주인장의 생각은 어떠할까 두근두근 내가 MBTI를 처음 제대로 접한 것은 작년 여름 회사 워크샵때였다. 보통 여름 워크샵을 근교에서 1박 2일로 진행하던 회사 문화가 있었는데, 코로나로 인해 1박 2일 모임을 잡기가 어려워져 식당을 대관하여 여러 레크레이션 시간을 가졌는데, 그 중 하나가 MBTI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이에 대한 설명을 듣는 것이었다. 혈액형, 별자리를 전혀 믿지 않는 뼈 T에게는 MBTI도 비슷한 유사과학, 토속신앙정도의 개념이였으나 당시 MBTI에 대한 설명을 듣고 생각보다 꽤 유용한 정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른 곳에 많으니 넘어가도록 하고.. 내가 심리학을 더 공부했다면 MBTI를 ..
그간 나는 나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으나 정작 내가 되고자 하는 미래의 모습은 이러한 나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설계하지 않았다. 오히려 먼저 이상적인 미래의 모습을 그리고, 그에 맞추기 위해 나를 바꾸는 노력을 해왔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이상적인 미래의 모습은 내가 가장 가까이서 본 성공한 사람의 모습을 거의 본따서 그려왔었다. 내 주변에서 본 가장 성공한 사람은 나의 친형이다. 형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 하나에 대해서만 연구하고 공부해오는 삶을 살아왔다. 따라서 그 분야에서 굉장히 좋은 성과를 나타내었고, 그것이 형의 좋은 커리어로 이어졌다. 즉 형은 스페셜리스트로 성공하는 삶의 표본같은 존재였던 것이다. 내가 보고 배운것은 그거밖에 없었으니 나는 그 길을 내가 따라가야 할 길이..
경영전략의 역사쪽을 공부하고 있는데, 때 맞게 진행하고 있는 project managing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간단하게 들었던 생각을 메모. 하나의 프로젝트는 평가 지표의 종합으로 번역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프로젝트는 수익, 매출 등의 회사에 발전에 필요한 여러 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해 시작된다. 가령 '딥러닝을 이용한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이라는 프로젝트를 예로 들자면, 인건비의 감소라는 지표, 혹은 사람이 시간당 진행하는 작업의 총 량이란 지표 등의 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재밌는 부분은 하나의 같은 프로젝트임에도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지표로 이를 이해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함께 개발을 하는 팀원이나 개발팀 팀장님의 경우 딥러닝 알고리즘의 정확도, 혹은 속도 등의 값을 보고싶어 한다. 관..
19년 8월 졸업식. 졸업식 내내 비가 쏟아졌다. 졸업식 사진을 찍는답시고 챙겨 신었던 싸구려 구두는 물에 잠기듯 젖어 더 이상 신발의 구실을 못할 상태가 되었고, 나는 속으로 '졸업식까지 이놈의 학교와 나는 더럽게도 안맞는구나' 라는 생각을 하며 어떻게 신발을 당장 갖다버려야 할지 고민했다. 여러 우여곡절 끝에 친구들에게 졸업을 축하받으며 나는 졸업식 당일의 국룰, 짜장면을 해치우러 아버지의 차에 타고 낙성대로 내려가고 있었다. 그런데 참으로 우습게도, 차가 후문을 통과하며 내려가는 순간 비가 거짓말처럼 그치고, 커튼에 햇살이 들어오듯 먹구름 사이로 환한 햇살이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그것을 본 어머니는 이렇게 말씀 하셨다. '너가 이제 졸업하고 학교를 떠나 사회로 나가는 것을 하늘도 축하하는가 보다...